‘백년대계'라는 교육의 중심축이 인터넷 게시물 하나로 속절없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한쪽은 ‘인사 쇄신책’을, 또 다른 한쪽은 ‘사실무근’을 주장하며 게시물 내용의 진위를 둘러싸고 2주째 대립각을 세웠다.

때아닌 홍역을 치른 교육청 홈페이지에는 사태의 본질과는 무관한 “~라더라” 시리즈가 난립했고 교육계를 싸잡아 비난하는 글마저 등장했다.

결국 한쪽은 “교육감이 귀임할 때까지 기다려보자”며 공세를 늦췄고 다른 한쪽은 “사실여부와 관계없이 물러날 마음을 갖고 있다”며 후퇴, 얼핏보면 사태해결의 큰 매듭이 풀린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번 논란의 핵심을 따지고 보면 애초부터 승자란 있을 수 없었다는게 이번 사태를 지켜본 이들의 공통된 마음일 것이다.

교육계 출신이라면 신뢰감이 앞섰던 이들의 “그래도 믿었던 교육계였는데”라는 자조가 가슴아프게 다가서는 건 왜일까.

세인들은 ‘정치판’이라 하여 뿌리깊은 불신의 화살을 정치인들에게 보내왔다. 그러나 이러한 불신은 ‘정치판’의 세만 불려왔다는 사실도 상기해야 할 대목이다.

이번 사태로 ‘정치판’마냥 ‘교육판’이란 말이 들려오지나 않을까 걱정이다.

외딴 섬마을 분교 검게탄 얼굴의 선생님으로부터 행정일선에서 묵묵히 일하는 대다수 공무원들이 제주 교육을 지탱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물론 투명하고 공정한 인사가 중요함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문제는 인사평가 방식의 문제가 아니라 그 결과가 조직의 화합을 해쳐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또한 해당 조직과 이 사회가 수긍할 수 있는 인사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이번 사태는 누군가의 사퇴로 해결될 문제가 분명 아니다. 썩은 환부를 도려내는 아픔을 겪더라도 확실한 인사 쇄신책을 조속히 마련, 제2의 인사 항명사태를 막아야 한다.

이번 도교육청 산하 6급 공무원들의 항변이 이런 순수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고 믿고 싶다.

“돈이 오갔다”는 주장이나 “자기 식구 챙기기”란 의혹이 제기된 시점이 교육감의 임기말이거니와 그가 다음주나 돼서야 귀임한다는 사실이 마음에 걸리기 때문이다.

또 한편으로는 청렴의 바로미터이어야 할 교육계 한편에서 내년 교육감 선거를 둘러싸고 하마평과 줄서기 소문이 나돌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혹이 제기된지 하룻만에 승진대상 낙마자가 생기고 교육계 내부에서조차 ‘인사위원회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은 도교육청의 인사 관행이 어떠했음을 미뤄 짐작케 한다.

‘인사가 만사’라 하지 않는가. 이번 파문이 ‘찻잔속 태풍’으로 유야무야 되어서는 안된다는 소리가 들려온다.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할 부분이 있다. 바로 이번 파문을 숨죽여 지켜본 하위직 공무원들의 ‘속마음’이다.

“사람을 의심하거든 쓰지 말고, 사람을 쓰거든 의심하지 말라”는 명심보감의 잠언을 떠올려 본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