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대선 쟁점으로 떠오른 '정수장학회 문제'에 대해 "나와는 무관한 일"이라며 정면돌파를 택했다. 이에 민주통합당은 국정조사·청문회 카드를 꺼내들며 강도 높은 공격을 가할 태세다.

박 후보는 15일 경남지역을 방문한 자리에서 '정수장학회 언론사 지분매각 추진' 논란과 관련, "정수장학회의 언론사 지분 매각은 자신이 상관할 일이 아니다"며 "야당도 이래라 저래라 할 권한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장의 사퇴 문제에 대해서는 "이미 밝혔다"며 "더 이상 말씀드릴 필요가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후보는 지난달 13일 한 언론사와 인터뷰에서 "이사진들이 잘 판단해 결단을 내려주셨으면 하는게 개인적 바람"이라며 최 이사장의 자진사퇴를 우회적으로 압박했다.

박 후보가 '정면돌파'라는 초강수를 꺼내 든 것은 정수장학회 문제를 정치쟁점화 하려는 민주당 공격을 희석하려는 의도로 풀이할 수 있다.

대선을 두달 가량 남겨둔 상태에서 민주당의 공세에 말려들 경우 득보다 실이 클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정수장학회 문제는 지난 총선 전에 이미 이사진이 결단하지 않는 한 대선 전후로 '뜨거운 감자'가 될 것이라고 예상해 왔다.

정치전문가들은 "이사진들이 스스로 사퇴 등 입장을 정리해주는 수밖에 없다"며 "만일 결단을 내리지 않을 경우 박 후보에게 좋을 게 없다"고 예견한 바 있다.

현재 논란의 쟁점은 정수장학회 취득 과정에 있어서 '자진 헌납이냐 아니냐'는 문제다.

새누리당은 "(김씨가)헌납 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민주당은 "강압으로 빼앗은 '장물'이며 "사실상 정수장학회는 박 전 대통령 일가의 소유물" 이라는 것이다.

당초 정수장학회는 기업인 고 김지태씨가 설립(당시 부일장학회)했지만, 그가 1962년 재산 해외도피 혐의 등으로 구속된 이후 본인 소유의 문화방송과 부산문화방송, 부산일보 주식 등을 국가에 헌납한 것으로 기록됐다.

그후 1982년 박 후보의 부모인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정'과 육영수 여사의 '수'를 따 정수장학회로 이름이 바꼈다. 이 때문에 박 후보와 정수장학회의 관계가 '무관치 않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가운데 박 후보가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을 맡아왔다는 사실이다. 2005년부터는 박 전 대통령의 의전비서관을 지낸 최필립씨가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정수장학회는 현재 MBC의 지분 30%와 부산일보 지분 100%,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 부지 2385㎡ 등을 소유하고 있다.

이와 관련 법원은 지난 2월 김씨의 유족이 정수장학회를 상대로 낸 주식반환 청구소송에서 "강압에 의해 주식을 증여한 사실이 인정된다"며 유족의 손을 들어줬다.

새누리당 남기춘 클린정치위원장도 14일 기자 간담회에서 "일련의 과정을 보면 강압성이 있었다"고 밝혔다. 안대희 정치쇄신특위 위원장 역시 "(정수장학회) 근원적인 문제는 최 이사장과 박 후보의 연관성"이라며 "오해를 불식하기 위해서라도 중립적인 사람에게 이사장직을 넘기고 그만두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정수장학회 문제'를 박 후보와 연장 선상에 올려놓고 총공세 준비를 마친 상태다.

민주당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국감을 통해 정수장학회에 논란을 규명하자는 입장이며, 국정조사와 청문회까지 요구한 상태다.

이들은 지난 11일부터 김재철 문화방송(MBC) 사장과 이길영 한국방송공사(KBS) 부사장 등의 국감 증인채택이 불발되면서 사실상 보이콧에 들어갔다.

15일에는 최필립 이사장을 항의 방문하는 등 국정감사가 파행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민주당 문방위원들은 이날 최 이사장을 만나지 못하고 발을 돌려야 했다.

이들은 이날 박 후보를 겨냥한 성명서를 내고 "박정희 군부정권이 무력적으로 강탈해 관리해 온 정수장학회가 이제는 박근혜 후보의 홍보장학회로 그 본색을 드러냈다"며 "공영방송 MBC의 공정·공익보도를 가로막고, 부산일보의 취재·편집권의 독립성을 훼손해 정치도구로 전락시키는 이면에는 정수장학회를 조종하는 박근혜 후보가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날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장과 MBC 측이 내부 협의를 통해 'MBC·부산일보 지분 매각 추진' 대화록이 한 언론을 통해 공개돼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뉴시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