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사용한 데이터 양만큼 요금을 내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 도입의 서막을 열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4세대(G)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 가입자가 가입한 요금제에 따라 기본으로 제공받는 데이터량을 태블릿PC, 디지털 카메라 등 본인 명의의 다른 스마트 기기와 나눠 쓸 수 있는 '데이터 공유제' 요금제를 속속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이통사의 데이터 공유 요금제 출시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바꾸기 위한 포석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현재 이통사는 음성통화·문자메시지·데이터로 묶여진 요금제를 내놓고 있는데 이용자의 반발 등 사용한 데이터 양만큼 내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한번에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는 이유다.

이통사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바꾸려 하는 이유는 네트워크 진화에 따라 사진, 동영상, 게임 등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데이터 위주의 수익구조로 바뀌고 있는 데다 LTE 가입자가 1000만명이 넘어서면서 데이터 소비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바람이 불면서 연간 1조5000억원에 이르던 단문 메시지(SMS)매출이 반토막난 것도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도입하려는 한 이유다.

데이터 공유제 요금제로 SK텔레콤은 31일 'LTE 데이터 함께쓰기 요금제'를 출시한다. KT와 LG유플러스도 최근 'LTE 데이터 셰어링' 요금제를 내놓았다.

SK텔레콤의 LTE 데이터 함께쓰기 요금제는 청소년용 LTE 요금제 'LTE 팅 요금제'를 제외한 LTE 34(월 3만4000원)요금제 이상 가입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스마트폰 회선에 최대 5개 기기(5회선)까지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LTE 데이터 함께쓰기 베이직 요금제(24개월 약정시 월8000원)에 가입하는 고객의 경우 회선 추가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KT의 'LTE 데이터 셰어링' 요금제는 청소년용 요금제 '알'을 제외한 LTE 요금제 가입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최대 9대의 기기(9회선)에서 데이터를 나눠 쓸 수 있다. 무선인터넷인 와이파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회선 추가에 따른 비용으로 등록 기기당 월 7500원(부가가치세 별도)을 내야한다.

LG유플러스의 'LTE 데이터 셰어링' 요금제는 LTE 520 요금제(월 5만2000원)이상 가입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최대 2대의 기기(2회선)에서 데이터를 나눠 쓸 수 있다. 회선 추가에 따른 비용으로 등록 기기당 월 7000원(부가가치세 별도)을 내야한다.

한편 업계에 따르면 이통사의 요금체계는 내년 상반기 말께 데이터 중심으로 완전히 바뀔 전망이다. <뉴시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