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쓰레기 배출 실태와 수거 정책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시사파일 제주가 파헤진다.

KBS제주총국(총국장 이종화)은 오는 31일 오후 10시 KBS 1TV 시사파일 제주에서 '쓰레기 대란, 현실로?'를 방영한다.

제주시 회천동 쓰레기 매립장의 포화 예상시점이 2014년 10월로 다가오면서 제주시의 향후 대책이 논란이 되고 있다.

현재 회천동 매립장의 총 매립 가능량은 188만톤으로 자체 용량의 95%이상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제주시에서는 쓰레기를 압축 야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제주시의 계획에 대해 시민단체는 전북 익산시의 사례를 들며“쓰레기를 압축 포장해 야적을 하게 될 경우 악취와 침출수 등의 2차 환경피해를 야기한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취재진의 확인 결과, 익산시 야적장 인근 마을 주민들은 야적장의 악취와 해충으로 일상 생활의 불편과 고통을 겪었다고 토로했고, 익산시 환경단체 역시 혼합 배출된 쓰레기는 압축 밀봉하더라도 악취와 침출수를 막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도 쓰레기 야적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그 피해는 매우 심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주시는 대체 매립지 조성 사업을 진행 하고 있다. 2011년 대체 매립지 조성을 위한 타당성 용역 조사를 시행, 이듬 해 2월 후보지 공모를 통해 교래리의 응모를 받았다.

취재진은 "행정적 절차상 필요한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권한이 제주도에 있게 되면서 제주시는 2012년 5월 제주도에 요청했지지만, 뒤늦게 올해 1월이 돼서야 입지선정위원회를 출범했고 대체 매립장 조성 사업이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비난했다.

이처럼 매립지 조성 사업이 늦어진 것은 제주도 역시 책임을 면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2011년 2월 환경부는 각 지자체에 행정시별로 운영 관리하는 폐기물 처리시설을 하나의 권역으로 통합운영관리 하도록 하는 '폐기물처리시설 최적화 전략' 지침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제주의 환경정책을 주도하는 제주도가 이미 이때 매립장 포화시점을 인지, 발 빠르게 대응했어야 했다며 비판하고 있다.

취재진은 제주시 대체 매립장 조성 사업의 내용과 추진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취재했다.

대체 매립지 조성이 늦어지면서 기존 매립장의 포화 시점을 늦추기 위해선 쓰레기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취재진은 지난 25일 연동 지역의 쓰레기 배출 및 수거 현장을 찾았다.

취재진은 "현장은 종량제 봉투가 제대로 사용되지 않고, 음식물 쓰레기가 종량제 통에 들어가는 등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있다"며 "심지어 종량제 봉투에 담겨지지 않은 쓰레기들이 수거통을 넘쳐 길에 버려져 있다"고 지적했다.

또 취재진은 "쓰레기 불법 투기와 혼합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주시가 설치한 CCTV는 고장과 도난 등으로 인해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제주투데이>

<문춘자 기자 / 저작권자ⓒ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