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정책자문위원 강영봉

요즘 사회의 화두 중 하나는 노동개혁과 청년실업난 해소를 위해 정부와 정치권은 물론이고 공공기관 및 기업 등이 숙제를 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 또한 이런 여파는 지자체까지 공명(共鳴)되어 그 해법을 찾느라 주야골몰(晝夜汨沒)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제주도도 그 어느 지방 못지않게 중대한 과제임에도 미동(微動)조차 보이지 않는다.

하기야 메르스 기간 동안 지역경제가 잠시 주춤했었으나, 여름 휴가철을 맞아 외국인관광객은 예전만 못하지만 내국인 관광객이 대거 입도함으로서 지역경제의 어려움을 그다지 불안과 어려움을 실감하지 못하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주의 경제적 호황이 얼마나 지속되고 그 수혜자가 누구일지 모르지만 지금의 노동시장과 청년의 사회적 경제적 활동상을 보면 국가가 우려하는 그 이상의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동시장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미래사회의 불안함이 있기에 이런 용어들이 탄생하고 비아냥거릴까? 청년실업과 관련하여 88만원 세대, 이태백(20대 대부분 백수), 청백전(청년백수 전성시대)인 것이다. 더 슬픈 것은 혈기왕성한 청년의 기백으로 세계를 종횡무진 누벼도 시원치 않을 판에 ‘삼포(연애, 결혼, 출산포기), 사포(삼포+인간관계), 오포(사포+집), 육포(오포+꿈), 칠포(육포+희망)세대’라는 절망의 신조어는 얼마나 청년들의 삶의 험난한지 이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필자는 이 질문의 답은 자치도의 평생교육을 어떻게 하느냐에 참된 답이 있다고 강조하고 싶다. 제주평생교육진흥원이 개원한지 3년이 되가는 시점에서 평생 교육사들이 앞서 언급한 질문의 답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참회의 기회를 갖는 것은 어떨까 싶다. 자치도는 그 어느 지방자치단체 못지않게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이나 자치법규, 평생교육기관들이 손색없이 잘 정비되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평생교육사의 이론적 식견은 겸비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프로그램 개발, 산업구조와 산업의 변화에 따른 학습자의 맞춤형 상담, 평생교육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평가 후 정책 발굴의 부족함이 흠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청년실업이 가증되고 있음에도 청년실업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즉 ‘일-학습병행’을 통한 취업과 학습을 동시 충족시키는 프로그램 개발과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생교육진흥원과 평생학습관이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 이 모든 것은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몫인 것이다.

자치도는 인재개발원과 평생교육과를 통해 교육과 지역인재육성이라는 정책을 수행하고 있고 이 두 정책은 원하던 원하지 않던 자치단체가 피할 수 없는 게 시대적 숙명인 것이다. 그래서 공무원 역량강화 교육도 중요하지만 고졸 및 대졸자 청년을 위한 지역인재육성으로 청년실업을 극복하는 정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014년 7월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 인재육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이를 근거로 자치법규도 제정되었다. 자치법규에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육성지원센터’를 설치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지금과 미래의 맞춤형 청년 일자리 창출과 청년실업 극복을 위한 최적이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자치도의 모든 행정력을 여기에 쏟아야 한다.

여기에 덧붙여 벨기에의 청년고용 프로그램인 “로제타 플랜”을 참고하여 제주 현실에 맞는 ‘제주형 로제타 플랜’을 제도화 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것을 제안하며 평생교육을 통해 청년의 기를 살려주기를 바라는 바다.

* 외부 기고는 본 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