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박이다. 허위사실 유포, 민형사상 책임 운운하는 제민일보의 행태다. 자사 기자가 연루된 폭행 사건으로 해당 국장이 투신을 했다. 제주시청의 간부공무원이 자사 기자에게 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투신했다. 죽음으로서만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다고 느낄 만큼이라면 실체적 진실과 상관없이 정중하게 사과를 했어야 했다. 해당 기자는 보직해임을 시키고 근신하도록 해야 마땅하다. 그런데도 허위 사실 유포에 민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한다.

이건 언론의 태도가 아니다. 마치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을 몰아세우던 공안의 모습과도 같다. 제주 언론들은 19일 밤에 일어난 폭행사건을 뒤늦게 보도했다. 그것도 성명서를 기사화하는 형식으로 다뤘다. 사안이 이토록 커진 것은 당사자인 모 국장이 투신했기 때문이다. 만약 불행한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이 일도 유야무야 넘어갔을 수 있다. 피해 당사자가 사법기관에서 진실을 밝혀줄 것을 요구하는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남긴 후 투신했다. 다행히 목숨을 건졌지만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이다.

민형사상 책임 운운은 죽음으로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했던 당사자에게 최소한의 인간적, 도의적 책임조차지지 않겠다는 태도나 진배없다. 그런데도 진정한 반성의 모습은 없다. 오히려 전사적으로 사건에 대응하는 모습이다.

제주 지역 언론들의 보도도 초기의 폭행 보도에서 진실 공방으로 프레임을 바꾸고 있다. 철저한 경찰수사가 있어야 할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도 태도에 혹시 언론이라는 침묵의 카르텔이 작동하고 있다면 그것은 언론의 죽음을 스스로 자처하는 일이다.

언론은 없고 언론권력만 존재한다는 지역사회의 비판을 제주지역 언론사들은 뼈아프게 느껴야 한다.

제민일보는 참 언론을 바라는 도민의 열망을 등에 업고 출발한 신문이다. 지역에 언론다운 언론, 신문다운 신문을 바랬던 열망을 기억하는 도민들도 여전하다. 그런 열망을 기억한다면 이번 사태는 차제에 도민언론이라는 초심을 상기하는 뼈아픈 각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그것이 언론으로서의 최소한의 양식을 찾는 일이다. 최근 개봉한 영화 베테랑 중에 “우리가 돈이 없지 가오가 없냐.”라는 대사가 나온다. 홍상수 영화 ‘생활의 발견’에는 ‘우리 사람은 못돼도 괴물은 되지 말자’라는 대사도 있다. 언론답게 살지 못해도 최소한 괴물은 되지 말자. 그리고 제발 ‘가오’ 좀 지키자. 언론과 언론인으로서의 최소한의 ‘가오’를.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