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심의 학문 진흥 정책을 지역의 시각에서 재편성하는 (가칭) 지역학진흥법 제정을 위한 국회 차원의 논의가 시작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불어 민주당 오영훈 국회의원(제주시 을)과 도종환·신동근·조승래·전재수·국민의 당 송기석 의원은 24일 국회에서 공동으로 (가칭)지역학진흥법 제정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박찬식 제주학연구센터장은 “지역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패러다임의 등장이 최근의 추세”라며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지역학진흥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기존 지역문화진흥법이 지역문화 발전과 진흥 정책을 위한 법적 기반이 되고 있지만 이 법이 문화적 활동의 지원과 진흥에 초점을 두고 있어 기초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학에 대한 법적 지원 정책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지역학이라는 이름으로 지역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73년이다. 제주 지역의 경우 1960년대 이후 ‘제주문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면서 지역적 시각을 획득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특히 1975년 영남대에서 개최되었던 한국문화인류학회 전국학술대회에 참석한 연구자들 중 제주에 관심을 갖고 있던 일군의 학자들이 ‘제주도연구회’를 발족하기도 했다. 이후 ‘제주학’은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지역학은 서울 중심주의적 시각에서 탈피해 지역의 특수성을 지역의 시각에서 해석하고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이번 지역학진흥법 제정 움직임이 실제 지역학 진흥 정책으로 이어질지 주목되고 있다. 현재 지역학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연구기관은 27곳 정도로 이들 연구기관은 현행 한국연구재단의 연구 지원 제도라는 한계 속에서 지역학 연구를 위한 학문 후속세대 배출과 연구소 운영 등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 지역에서도 지난 1997년 제주학회, 2004년 제주학연구소가 설립되고 지난 해 제주발전연구원 산하에 제주학연구센터가 만들어졌지만 제주학 연구를 위한 학제간 협업 등 제도적 지원책이 없어 제주학을 연구할 학문 후속세대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지역학 연구를 통해 지역의 인문적 토양을 확대할 지역학진흥법 제정이 현실화 될 경우, 현행 한국연구재단 중심의 연구 지원 제도에서 소외된 지역학 연구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박찬식 제주학연구센터장을 비롯, 서울시립대 서울학 연구소, 인천시립대 인천학연구소, 충북발전연구원 충북학연구소, 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원광대 프라임인문학진흥사업단, 광주문화재단 등 지역학 연구 전문가들이 참석해 토론을 벌였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