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3억8748만 명으로 세계 1위, 면적은 한반도의 44배 크기, GDP 11조3916억 달러로 세계2위.

중국은 드러난 현상만으로는 매우 덩치가 큰 대국(大國)이다. 사실상 G2국가다.

그러나 속을 보면 큰 덩치가 부끄럽다. 하는 짓거리가 뒷골목 깡패 수준만도 못하다. 마음보는 ‘밴댕이 소갈머리’다.

인(仁)과 예(禮)를 소중히 여기는 점잖은 공자(孔子)의 나라로 여겨졌던 중국이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잡으면 그만’이라는 ‘게걸스런 탐욕의 나라‘로 변해버렸다.

겉과 속이 다른 중국의 두 얼굴인 것이다.

한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제)’ 배치와 관련한 중국의 대응 태도가 그렇다.

중국은 최근 한류문화의 중국 진출 규제와 차단에 나섰다.

중국여행객의 한국 관광 제한이나 금지조치도 계속하고 있다.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 등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 활동을 제약하거나 노골적으로 상품 불매 운동까지 부추기고 있다.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전 방위적 보복 조치는 국제 협약이나 국가 간 무역협의 등을 짓밟는 막가파식 뒷골목 조폭 수준이다.

한국의 사드 배치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나 핵실험 등 무력 위협에 대한 자위적 최소한 방어 조치다.

북한의 핵이 한반도와 주변국은 물론, 세계평화와 안전에도 위협이 된다는 사실은 세계가 공인하는 것이다.

중국도 알고 있다. 알고 있을 뿐 아니라 북핵 위협에 대한 국제적 제제 조치에 중국도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동참하고 있다. 겉으로는 그렇다.

그런데도 중국은 국가 안위를 위한 최소한의 방어 수단인 한국의 사드 배치에 딴죽을 걸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에 대한 내정간섭이기도 하다.

중국은 지난해 2월 중국 대만 베트남 간의 영유권 분쟁지역인 남중국해 난사군도에 인공 섬 7개를 조성하고 여기에 방공미사일과 사드 수준의 레이더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러고는 관련 당사국과 국제사회의 군비확장 우려와 반대에 “중국 인공 섬 군사시설 배치는 순수한 방어적 시설‘이라고 항변했었다.

그래놓고도 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해서는 신경질적 반응을 보이며 보복조치를 감행하고 있는 것이다.

‘내가 하면 순수한 방어 조치이고 네가 하면 불순한 공격 수단’이라는 말이 아닌가.

중국의 이중성은 야누스의 두 얼굴처럼 앞뒤가 판이하다.

그러기에 ‘중국의 두 얼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우선 만만한 ‘한국 길들이기’라는 시각이 있다.

사실상 한국 사드 배치 주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이나 이미 사드를 배치한 일본에 대해서는 아무 말 못하면서 한국만 걸어 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북핵 해결에는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면서 한국의 자위적 방어 수단에 대해서만 치졸한 보복 게임을 하는 것은 중국이 한국을 우습게 여기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빌미를 제공한 한국 정부의 책임이나 외교 정책의 오류에 대해서는 반성의 여지가 있고 비판받아 마땅하다.

지난 2000년 6월 ‘마늘 파동’때의 일이다.

정부는 국내 마늘 농가 보호를 위해 중국산 냉동마늘과 초산마늘에 적용하는 관세율을 30%에서 315%로 올렸다. 세이프가드 조치였다.

이에 대해 중국은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휴대전화와 폴리에틸렌 수입을 중지하는 보복 조치를 취했다.

당시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미 가입국이었다.

중국의 조치가 국제 규정에 어긋난 것을 알면서도 한국 정부는 법적 문제제기 통로가 마땅치 않았다.

결국 1개월 만에 관세율을 이전 수준으로 돌리기로 했다. 사실상의 항복이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은 이러한 기분 좋은 추억을 살려 한국의 ‘백기 투항’을 노린 의도된 밀어붙이기 일 수도 있다.

그래서 한국의 목줄을 쥐고 이리저리 끌고 다니며 노리갯감으로 갖고 놀 수 있다고 망령을 부리는 것인가.

또 다른 의도는 한국 사회의 여론을 분열시켜 한미동맹 균열을 꾀하고 미국의 동북아 세력 확장을 견제하기위한 포석의 일환이라는 것이다.

대통령 탄핵이라는 미증유의 한국 정국 혼란 속에 ‘촛불’과 ‘태극기’ 세력의 이간을 극대와 시켜 차기정권 쟁취그룹을 친중 우호세력으로 확보하려는 무서운 음모가 숨어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렇지 않아도 ‘한미 간 협약에 의해 결정된 사드 백지화는 어렵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일각의 대선 후보 집단에서는 사드를 차기 정부로 넘겨야 한다거나 애매모호한 정치적 수사로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을 정부의 무능 탓으로 돌리며 불순한 의도의 중국 언론들의 논지에 부화뇌동하는 일부 정치인이나 일부 반정부 언론의 호들갑도 국론분열의 바이러스다.

지금은 중국의 보복이나 압력에 굴할 때가 아닌 것이다.

사드 보복에 관한 한 정부나 대선후보를 포함한 여야 정치인, 오피니언 그룹, 사회일반 국민들이 똘똘 뭉쳐 당당하고 의연하게 중국의 공격을 막아내야 할 때다.

국제 협약이나 자유무역협정 위반 등에 대한 국제기구 제소는 물론 동원가능한 모든 수단을 전개하는 자위적 조치도 필요하다.

중국의 속국으로 전락하여 질질 끌려 다니느냐, 국민적 에너지와 자존심을 모아 떳떳하게 국권을 지키느냐의 갈림길인 것이다.

사드를 빙자한 한국과의 무역전쟁은 중국으로서도 부담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국의 잃을 것 못지않게 중국의 잃을 것도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United we stand divided we fall)”.

미국독립선언서 작성에 참여했던 벤자민 프랭클린(1706~1790)이 남긴 명언이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