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대통령 선거 D-1, 8일은 대통령 선거 운동 마지막 날이다.

각 후보나 후보 진영은 저마다 압도적 승리를 장담하거나 반전의 대 역전 드라마를 쓰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그들만의 리그요 희망사항이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이번 대통령 선거는 나라의 명운과 국민의 삶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국가적 이벤트다.

누가 권력을 잡느냐에 따라 나라의 품격과 색깔과 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국민이 행사하게 될 한 표 한 표는 신성하다. 무겁고 진중해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선거는 최선(最善)이 아니면 차선(次善)을, 차선이 없으면 차악(次惡)이라도 골라내야 하는 작업이다.

이것이 민주시민의 의무이자 책임이다.

선거에서 사표(死票)는 없다. 흔히들 당선되지 못한 후보에게 행사한 표를 사표라고 부른다.

그러나 그것은 죽은 사표가 아니다. 엄연히 살아있는 표다. 어엿한 민주시민의 권리 행사인 것이다. 당당한 의사표시다.

사표가 두려워 투표를 포기하는 것은 비겁하다. 선거에서 한 표는 민주주의의 자양분인 것이다. ‘밥 한 술’의 양식인 셈이다.

미국의 저명한 사회학자 슈트어트 휴즈는 “선거에서 2~3%의 득표율로 낙선되었다 해도 그것은 소수의 소중한 의견”이라 했다.

“다수가 귀 기우려야 할 소수 유권자의 소리”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당선되지 못할 후보에게 투표해 사표를 만들지 말고 당선 될 후보에게 표를 몰아줘야 한다”는 ‘사표방지론‘은 민주적 가치를 짓밟는 야만의 논리다.

이번 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사표론 시비’는 계속되고 있다.

“될 사람에게 밀어주자”는 특정후보 진영의 ‘사표 방지론’에 반대진영이 “사표는 없다”고 ‘소신투표 독려’로 맞받아치고 있다.

여기서 진정한 ‘사표 방지’를 위한 결선 투표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의 당선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득표율 1위와 2위 간 결선 투표에서 결단을 내리자는 제안이다.

단 한 표만 더 얻어도 당선되는 ‘승자독식의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누가 당선되든 결선투표제를 포함한 권력구조 변경 또는 개선 등 헌법 개정문제를 떠안아야 할 것이다.

헌법 개정은 모든 후보들이 동의하는 바여서 더욱 그러하다.

그렇지 않아도 일각에서 “득표율 30%대 대통령이 나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소리가 나오고 있다.

30%대 득표 대통령은 그만큼 국정 견인 능력을 잃어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그저 해보는 소리가 아니다. 각 후보 캠프의 자체 판세 분석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이미 압도적 50% 득표는 사실상 물 건너 간 것이 아닌가 여겨질 정도다.

더불어 민주당 문재인 후보 진영은 ‘득표율 50%가 관건’이라고 말하고 있다.

“50%가 넘는지 넘지 않는지가 관심사‘라는 문후보측의 반응은 50%를 마지노선으로 삼아 턱걸이 하고 있음을 내비친 것이나 다름없다.

‘당선은 따 놓은 당상’이라는 자신감 속에 감추어진 ‘혹시나’하는 불안감의 속내인 것이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측은 아예 1~2위 예측 득표율을 38%~40%로 계산하고 있다.

떠돌던 숨은 표심이 급격히 집결되어 1위 후보와 양강 구도를 형성했고 대선에서 38%대 40%의  2~3%차이로 역전 승리 할 것이라고 장담하고 있다.

어디에서 근거한 자신감인지, 희망사항인지는 모르지만 득표율까지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다.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측도 자신감이 충만하다. 안철수 바람이 불어 양강 구도를 다시 복원시켰고 문후보를 역전 시켰다는 것이다.

사전 투표율이 전국 26%인데 호남이 31~34%인 것은 안철수 지지층이 완전히 복원 된 것을 의미하고 바닥 민심이 안철수 쪽으로 쏠리고 있다는 주장이다.

바른정당 유승민후보측이나 정의당 심상정후보측도 젊은 표심이 무섭게 일어서 지지율을 끌어 올리고 있다고 희색이다.

이들 5당 후보진영의 주장을 너그럽게 받아들여 단순셈법으로만 계산해도 득표율 40% 진입은 쉽지 않아 보인다.

결국 30%대 득표 대통령이 나올 법도 한 일이다.

그래서 대통령 선거에 관심이 높아진 젊은 표심의 향방과 보수노년층 표심 결집 여부가 이번 대선 당락의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없지 않다.

젊은 표심이 진보적 색채의 후보들에게 분산되고 중도 표심과 노년층 보수 표심이 한 방향으로 흐를 경우 대선 판도는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통계학 전공의 이영작 박사의 판세 분석은 그래서 흥미롭다.

그에 따르면 우파 40%, 중도 20%, 좌파 40%의 한국사회의 이념성향은 1987년 이래 큰 물줄기가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판세를 단순하게 여기에 대입하면 홍준표·조원진·유승민 일부 40%의 우파, 안철수의 중도 20%, 문재인·심상정·유승민일부 40%의 좌파로서 어느 한 후보만으로는 40%를 넘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득표율 30%대 대통령 시대가 허언(虛言)이나 말장난 수준으로 끝날 문제가 아닌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든 국정 제일목표는 국민통합에 둘 수밖에 없다. 내치고 덜어내는 뺄셈정치가 아니고 끌어안고 보태는 덧셈의 포용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미래가 여기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