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에 대한 전국민의 인지도는 높았지만, 관심도나 정보인지도는 낮았으며 도민과의 인식차도 극명해 앞으로 한국사가 풀어야 할 숙제로 떠올랐다.

▲지난 4월 3일 4.3추념식이 열린 날, 제주4.3평화공원의 각명비에 유족들이 분향을 올리고 있다.@자료사진 제주투데이

10일 오전 제주칼호텔에서 열린 제7회 제주4‧3평화포럼 제1세션에서 김경돈 코리아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전국민 제주4‧3사건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인지도조사와 인식조사로 나누어 지난 9월 진행했다. 인지도조사는 제주를 제외한 만19세 이상 전국민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했다. 또한 인식조사는 제주를 제외한 전국민 1,208명과 제주도민 506명으로 했다.

인지도는 고무적, 정보인지도는 암울

먼저 제주4‧3을 알고 있는 전국민은 68.1%로 나타났다. 특히 이같은 인지도는 광주5‧18민주화운동(99%), 노근리양민학살사건(75.7%)에 이어 세 번째였으며, 20대의 인지도도 54.7%로 절반을 넘어 고무적이었다.

또한 4‧3특별법을 알고 있는 국민도 63.3%였으며, 4‧3진상조사보고서가 발간된 사실도 53.6%가 알고 있었다. 지난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4‧3과 관련해 공식사과했던 사실도 51.2%의 국민들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주4‧3에 대한 정보인지도는 앞의 인지도와는 대조적이었다.

4‧3 발생시기를 ‘한국전쟁 전’이라고 정확히 알고 있는 국민은 28%에 불과했다. ‘한국전쟁 후’라고 답한 비율이 49%였으며, 모르겠다는 대답도 22.7%였다.

희생자 규모도 ‘1천명~1만명’이라는 응답이 44.2%였으며, 현재 공식 추정되고 있는 피해자 규모인 ‘1만명~3만명’을 알고 있는 국민은 35%였다. 한편, '3만명 이상'이라고 답한 국민은 5.2%에 불과했다.

4‧3관심도도 매우 낮았다. 4‧3에 대해 ‘관심있다’는 응답은 16.2%에 불과했으며, ‘관심없다’는 응답은 50.2%로 무려 절반을 넘었다. 제주도민의 47.9%가 ‘관심있다’는 응답과 대조되는 결과였다.

국민과 도민간 4‧3을 보는 눈 너무 달랐다

국민과 제주도민이 바라보는 4‧3도 중요한 부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먼저 4‧3의 성격에 대해 전국민과 도민 모두 양민학살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면밀하게 살펴보면 시각차가 적지 않았다. 도민은 69.9%가 양민학살로, 13.4%가 폭동, 7.8%가 사건이라고 보았다. 반면 전국민은 38.5%만이 양민학살로 보았으며, 사건(20.8%)과 항쟁(19.5%)이 그 뒤를 이었다. 

4‧3 정명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였다. 전국민의 경우 학살, 항쟁, 사건, 혁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민은 모르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아 마음속에서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어서 사건, 항쟁 순이었다. 

4‧3을 한국사에 알리기 위한 방식에도 차이가 있었다. 4‧3을 초중고 교과과정 교육에 적용하는 시기를 전국민은 중학교 때부터가 적정하다는 답변이 많았던 반면, 도민은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답했다.

4‧3 해결을 통해 실현해야 할 가치도 인식차가 있었다. 전국민은 민주발전과 화해상생, 인권신장이 주류를 이루었다. 반면, 도민들은 화해상생이 압도적이었으며 인권신장과 민주발전 순이었다. 

4‧3 진상을 알리는 적정한 방법에 대해서는 전국민과 도민 모두 신문이나 방송 등 언론매체의 역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다만 전국민은 영화나 홍보영상의 필요성도 중요하다고 본 반면, 도민들은 학교수업을 통해 보다 현실적이고 교육적인 차원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