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연구자인 박찬식 박사가 저술한 <4·3과 제주역사>(도서출판 각)가 제주4·3 발발 70주년을 맞이해 개정증보판으로 새로 나왔다.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2008년 초판에서 시의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삭제됐다. 대신 이후 10년간 저자가 축적한 새로운 4·3 관련 연구 결과를 새롭게 수록하였다.

4·3 60주년에 발간된 <4·3과 제주역사>는 1999년 공개된 '군법회의 수형인명부'를 분석한 글로부터 각종 행형자료를 토대로 4·3 행방불명인의 실상을 추적한 본격적인 4·3 연구서로 평가된다.

 <4·3과 제주역사>는 '6·25 탈옥수명부'를 처음 발굴하여 목포형무소 재소자의 행방을 다룬 부분은 4·3의 진상 규명이 완결되지 않았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정명 논란이 일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짚어볼 만한 유의미한 텍스트다.

총 20장 중 9장이 새롭게 작성한 논문들이다. 우선, 저자가 지난 책에서 다루지 못해서 아쉬움을 느꼈던 무장봉기와 인민유격대 관련 글을 추가했고, 형무소 4·3재소자 행방에 관한 글 2편도 보완했다. 나아가 한국전쟁 시기까지 시간을 넓힌 글 2편과 여순사건, 대만 2․28사건과 비교하는 글, 4․3사자(死者) 기억, 연구의 쟁점 관련 글도 새로 수록하였다.

이번에 저자가 개정증보판을 내놓은 이유는 우선, 지난 2008년판이 적은 부수의 한정판이었기 때문에 일찍 절판되어서 책을 손에 넣고자 하는 독자들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기 때문이다.

이는 최근 4․3을 탐구하는 연구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 심지어 외국인들조차 제주역사와 4․3에 각별한 관심을 내보이고 있다. 4·3이 더 이상 전공학자들의 전유물이 아닌 일반 독자들도 관심을 가질 정도의 환경이 조성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4·3과 제주역사>의 결론에서 ‘제주4·3의 역사적 의미’를 크게 ‘저항과 순응’, ‘공동체와 자존’, ‘인권과 평화’, ‘통일과 화합’으로 정리하여 놓았다. 이는 저자가 바라보는 4·3의 역사적 의미가 매우 복합적이고 다층적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저자는 총체적으로는 4·3을 ‘제주공동체의 존립을 위한 항쟁’으로 규정한다. 4·3을 제주역사와 제주민중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뚜렷한 입장을 견지한다.

 <4·3과 제주역사>는 4·3을 중앙의 관점, 국가사의 시각에서 일방적으로 규정하는 데서 벗어나 역사의 저변을 이루는 지방의, 지역민중의 입장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자치론적 인식의 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개정증보판이 통해 4·3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정명을 위한 논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