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주년을 맞은 4·3. 올해 4·3희생자유족회와 시민단체 등은 제주4·3의 정명을 위한 목소리를 여느 해보다 크게 냈다. 추상적으로 얘기되고 있는 ‘4·3정신’을 4·3봉기에서 찾아야 한다고 외쳤다. 민중, 즉 제주도민을 역사의 주체로 바라보겠다는 선언이었다.

지난 4·3추모주간 아직 이름을 붙이지 못한 백비에 ‘4·3민중항쟁’라 쓰고 역사의 이름을 바로잡는 퍼포먼스들도 진행됐다. 정명은 이번 70주년을 맞은 이번 4·3의 화두 중 하나였다.

그러나 4·3유족회와 시민들의 바람과 달리 학계와 정치권의 반응은 찾아보기 어렵다. 별다른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형국이다. 이에 제주투데이는 제주4·3의 정명에 대해 6·13 지방선거 제주도지사 선거에 뛰어든 문대림, 김방훈, 고은영 예비후보들에게 입장을 물었다.

각계에서 요구하고 있는 4·3 정명의 필요성에 대한 후보의 생각을 묻는 질문(‘필요하다’, ‘필요없다’, ‘현재 후보의 명확한 의견은 없음’ 중 택1)에 문대림 후보와 김방훈 후보는 ‘필요하다’, 고은영 후보는 ‘현재 후보의 명확한 의견은 없음’이라 답했다.

‘4·3 정명이 필요하다면 어떤 표현이 적절하다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항쟁 또는 민중항쟁’, ‘학살’, ‘기타(   )’, ‘현재 후보의 명확한 의견은 없음’ 중 택1)에 문대림 후보와 고은영 후보는 ‘현재 후보의 명확한 의견은 없음’, 김방훈 후보는 ‘기타(제주사건)’이라 답했다.

제주시민단체 등은 2일 저녁 8시께 제주문예회관 가설 무대에서 '4·3민중항쟁'이라고 쓰여진 백비를 일으켜 세우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사진=제주투데이)

끝으로 각계의 정명 요구에 대해 후보가 하고자 하는 얘기를 물었다. 각 후보의 답은 다음과 같다.

문대림 후보 “4.3의 진상규명은 4·3 70주년인 현재도 진행중이다. 4·3 당시의 미군정 역할, 책임의 문제, 이념의 대립 등 해결할 문제가 많다. 물론 4·3의 정명작업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진상규명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성급한 정명작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김방훈 후보 “정명은 필요하다. 사람이 이름 없이 어릴 적 부르던 이름으로만 불리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생각한다. 그에 대한 합당한 이름을 가질 필요는 분명하다. 사람이 태어나 호적에 이름을 올리는 것과도 같다. 그러나 정명함에 있어서는 각계각층의 충분한 논의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모두에게 불만이 없는 정명이 돼야 한다고 본다. 개인적으로는 ‘거창양민학살사건’이 ‘거창사건’으로 ‘여순반란사건’이 ‘여순사건’으로 정명되었듯이 ‘제주사건’으로 정명했으면 한다.”

고은영 후보 “평화의 섬 실현 4대 정책 및 4·3 특별 논평 시리즈(5편)을 통해 4.3의 시대적 과제와 현대 제주인의 역할을 제안했다. 4·3의 정명을 위해서는, 추가 피해는 물론 당시 미군정의 책임, 국제 정세에 대한 더욱 면밀한 진상조사와 제주의 주체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통합적 진상조사를 포함한 4·3 특별법의 개정이 지금 시행되지 않으면, 마지막 생애주기에 있는 1, 2차 피해자와 유족은 4·3의 정명도, 완전한 해결도 보지 못하고 애통하게 눈을 감아야 할 것이다. 70주기를 맞는 2018년, 정부의 과감한 결단과 국제적 역할을 촉구하는 도지사가 필요하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