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주민자치연대가 최근 원희룡 도지사가 위촉한 '도민화합공약실천위원회'(이하 공약실천위) 차원에서 검토되는 제주통일공원 및 통일회관 조성 사업에 지나치게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제주 애향묘지의 전경@사진출처 구글지도

공약실천위 사회통합특별분과는 이북도민 복지 확대 사업 중 하나로 '제주통일공원 조성 및 이북도민 위한 제주통일회관 건립'을 논의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회통합특별분과는 제주통일공원과 추모관 건립에 200억원, 통일회관 건립에 270억원 등 총 470억원의 예산을 회의 자료에 올렸다.

이에 <제주투데이>는 이 예산안이 이북5도위원회 제주특별자치도사무소에서 올린 안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제주주민자치연대는 "고향을 떠나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이북 5도민들을 위한 지원은 필요하지만 총 470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백번 양보해도 혈세 낭비일 수밖에 없다"며 "공약실천위 회의자료에 따르면 2019년 본예산에 반영 추진 등을 명시하고 있는 등 추진을 철회할 의사가 없어 보인다"고 우려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는 최근 원희룡 제주도지사의 공약의 내용들이 이같은 회관이나 센터, 공원 설립 등 수천억원이 예산을 필요로 하는 사업들이 몰려 있다고 지적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는 "지난 6·13 선거는 정책선거는 아니었다. 도민들에게는 원희룡 후보의 200대 공약의 세부 내용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며 "원희룡 후보의 <제주가 커지는 꿈> 200대 공약을 모두 이행하려면 7조 5000억원이라는 엄청난 예산이 투입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공약실천위가 다루고 있는 대형 설립 사업을 보면 제주통일동산 및 통일회관 건립 외에도 △ 택시교육회관, △ 소상공인회관 건립, △제주 예술인회관 건립, △ 제주문학관 건립, △보훈회관 건립, △수자원종합연구센터, △사회적농업 및 커뮤니티 케어센터 시범육성, △국제보호지역 연구훈련센터 설립, △광어 가공유통센터 건립, △제주형 친환경식재료 유통센터 설립 △어르신 교통약지이동지원센터 확대, △제주혼디내일센터 설립, △알바 일자리원센터 설립, △여성경제, 청년여성 챌린지지원센터, △여성 창업과 공예센터 설치, △우리아이센터 설립, △대리운전기사 등 이동노동자 쉼터 조성, △노인건강지원센터 건립, △난임 불임치료센터 서귀포시 건립, △지역거점형 특화콘텐츠기업 육성센터 조성, △장르별 거점 공공창작지원센터 조성, △ 제주불교 종합문화센터 건립, △인구밀집지역 거점 복합 건강증진센터 건립, △읍면지역 복합문화체육시설 건립, △제주공동주택지원센터 설립, △서귀포동물보호센터 설치, △4·3유족 복합센터 건립, △4·3 트라우마센터 설립, △글로벌제주인플러스센터 설립 등이다.

센터나 회관으로 명명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유사한 공약으로는 △국립 제주녹색과학기술원 설립 △유소년 승마 클러스터 육성 △제주고령친화종합체험관 건립 △노숙인 시설 운영 단체 지원 △국제하이든쥬니어콩쿠르 유치 △ 한국 e스포츠협회 제주지부 설립 △소방 심신건강 수련원 제주유치 △ 제주도립국악단 창단 △ 제주도립극단 설립 △ 제주사회공헌재단 설립 등이 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는 "원희룡 도지사의 200대 공약 가운데 회관이나 센터 또는 이와 유사한 사업명칭으로 된 공약은 파악된 것만 40개로 전체 공약의 20%에 이른다"며 "필요한 사업도 있지만 읍면별 복합문화체육시설 등 1개소당 수십억씩 투입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회관, 센터 건립비용만 합쳐도 수천 억원의 혈세를 써야한다"고 우려했다.

특히 제주주민자치연대는 "지난 선거에서 원희룡 후보는 ‘조배죽’에 대한 비판의 각을 세웠지만 우리가 보기에 이러한 공약들 중 상당수는 정작 ‘조배죽 시대’에나 유행했던 선심성 공약이나 다름 없다"고 비판했다.

제주주민자치연대는 "공약실천위에는 도민의 눈과 귀가 되어 비판해 줄 위원들도 일부 있지만 마치 원 지사가 비난했던 ‘조배죽’ 우근민 지사 시절 ‘공신록’ 쓰듯이 반영된 인물들도 적지 않다"며 "선심성 공약에 대한 과감한 구조조정이 필요한 실정에서 고양이 목에 누가 방울을 달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연대측은 다시금 공론의 장에서 공약을 면밀히 검토하고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공약실천위는 오는 8월 공약 세부사항을 정리하고 구체적인 사업 계획에 들어갈 예정이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