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도정이 블록체인 특구 지정을 위해 애쓰고 있는데요. 하지만 정작 블록체인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도민들은 많지 않죠. 기술적인 용어들이 많이 사용돼 복잡하기도 하고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가 뭔지, 블록체인 특구가 무슨 얘기인지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어떤 거래를 하면 장부에 그 거래 내용을 기록하죠? 컴퓨터가 보편화되기 전까지 수기로 장부를 기록하기도 했고요. 이제는 컴퓨터에 전자적인 방식으로 거래 기록을 저장합니다. 이를 전자 장부라 부릅니다. 계좌이체를 생각해볼까요. 인터넷 쇼핑으로 물건을 사고 계좌이체를 하면 그 거래 정보가 제3자인 은행의 서버에 저장됩니다. 정보가 중앙에 집중돼 있으면 어떤 문제들이 생길까요. 우선 보안 문제가 생깁니다. 해킹의 타깃이 되는 거죠. 그리고 정보의 독점 문제도 따릅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전자 장부를 만드는 기술의 일종입니다. 다만 그 장부를 중앙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거래 당사자들이 직접 기록하게 되는 시스템이에요. 장부에 대한 접근권이 중앙에 집중되지 않아 평등하고, 장부가 분산돼 해킹도 어렵다는 것이 블록체인의 특징이라고 일컬어지고 있죠. 그래서 블록체인 기술이 투명성과 안전성을 담보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전세계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죠.

그럼 암호화폐는 뭐냐. 암호화폐는 우선 실물이 아닌 디지털상으로만 존재하는 디지털화폐입니다. (게임 머니처럼) 가상의 커뮤니티에서 거래가능한 가상화폐의 한 종류죠. 암호화폐가 다른 디지털화폐, 가상화폐들과 다른 점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즉 블록체인 기술을 화폐에 적용한 것이 암호화폐입니다. 그 유명한 비트코인이 바로 최초의 암호화폐죠.

‘블록체인=암호화폐’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주식시장을 예로 들어봅시다. 주식시장에는 IPO(Initial Public Offering)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비상장기업이 유가증권시장이나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해 관련 절차에 따라 주식을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에게 팔고 재무내용을 공시하는 거죠.

이런 방식이 블록체인에도 적용됩니다. 주식 대신 암호화폐를 파는 거죠. 이를 ICO(Initial Coin Offering)라고 합니다. 자본금 조달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런데 주객이 전도되며 사회적 문제가 됐죠. 암호화폐를 위한 암호화폐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단순 투기의 대상이 되어버린 거죠. 이에 한국 정부는 2017년 9월 ICO 전면 금지를 선언했습니다. 이로 인해 현재는 코인을 만드는 것이 목적인 프로젝트가 거의 사라졌다고는 하는데요. 그럼에도 다단계 방식으로 눈먼 돈을 사냥하는 집단이 제주 사회에 잠식해 ‘활약’하고 있다고 합니다.

원희룡 도지사가 제주도를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죠. 원 지사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떼어놓을 수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통해 더 큰 산업적·사회적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며 제주도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규제 완화 실험지로 최적지라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아 블록체인 특구 지정이 어떤 의미냐고요? 제주도에 규제를 완화한 샌드박스, 즉 ‘암호화폐 놀이터’를 만들어주자는 거죠. 일자리 창출에 대한 장밋빛 전망도 내놓고 있습니다.

근데 이에 대한 비판이 만만치 않습니다. 제주도의 블록체인 특구 건의 내용을 살펴본 홍기훈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그 목적이 불분명하다는 진단을 내렸습니다. 무엇을 위한 특구 지정인지 구체적인 내용과 목적을 알 수 없다는 거죠. 또 제주도민들에게 어떤 이익이 돌아갈지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다고 평가했습니다.

원희룡 지사가 일자리 창출과 IT 계통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경제효과 등을 얘기하고 있지만 일자리창출에 대한 부분은 과대포장 된 부분이 있다는 지적도 나오네요. 외부에서 블록체인 관련 산업체를 유치하는 것을 두고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말할 수 있겠냐는 건데요. 일리 있는 지적이죠. 외부에서 들어와 각종 특혜만 챙기는 IT 기업들의 ‘놀이터’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죠. 또 암호화폐를 매개로 한 다단계 방식의 사기 세력까지 기승을 부리는 현재, 눈 어두운 도민들이 현혹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립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