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제주도 내 어린이집과 학생들의 식중독 사태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교육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식중독의 이유를 찾아내지 못한 경우도 적지 않아 학교 및 어린이집 위생 관리 및 감독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제주도교육청 청사

지난 3월 22일 제주시 내 모 초교에서 발생한 집단 구토 및 설사 증세가 일어나면서 제주도교육청은 제주시교육지원청(교육장 윤태건), 서귀포시교육지원청(교육장 김진식)과 함께 지난 25일부터 3일간 도내 유‧초‧중‧고‧특수학교의 일제 현장 점검을 실시 중이다.

식중독 및 노로바이러스 의심사태는 이번 달만 벌써 두 번째다.

사실 이번 식중독 의심사태는 작년에도 큰 이슈가 되기도 했다. 지난해 1월에는 한 어린이집에서 수십명의 아이들이 집단 식중독 증세를 보였지만 원인을 찾지 못한 채 마무리된 바가 있다. 또한 9월에는 풀무원의 '초코 블라썸케이크' 식중독 사태로 제주는 물론 전국적인 문제가 되기도 했다.

도교육청은 “발생 원인 파악 등 역학조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사실 원인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결국 가장 의심을 받게 되는 것은 학교급식이지만, 급식에서 원인을 찾지 못하면 사실상 감염원을 찾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진다. 

특히 노로바이러스의 경우에는 감염원의 범위가 훨씬 넓은 감염병이어서 교육당국은 감염원 차단과 예방에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도교육청의 한 관계자도 "식중독 의심 사태가 일어나면 보건당국에서 급식과 보존식, 칼이나 도마 등 조리도구, 수질 검사를 하며, 학교 문고리까지 전부 수거해서 검사하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말했다. 그럴 경우 사실상 감염원을 찾을 수 없어서 '원인불명'으로 끝나는 일이 발생한다. 

이에 이 관계자도 "역학조사 보고서에도 원인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정도로만 나와있어서 예방하기 위한 행정절차에도 고민이 많은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에 교육당국에서는 △학생 예방교육 △학생감염병 관리 조직 구성 운영 △방역물품 비축 등 점검, △손씻기 시설 및 먹는물 저수조 관리 등의 전반적인 점검을 강화하는 방안을 택하고 있다.

결국 불안에 떨어야 하는 것은 아이들과 학부모들이다. 식중독 위험성이 커지는 봄철이 다가오면서 다시금 아이들 먹거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