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밖에.나다' 표지.
지난 10일은 세계 인권선언 55주년이었던 '세계 인권의 날'이었다.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만연해 있는 차별문제는 법과 제도의 개선이 우선이라는 사실을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일상속의 차별의식을 극복할 수 있는 인권감수성을 키워나가는 것 또한 중요하다.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김창국)가 지난 10일부터 일주일 동안 서울 인사동 소재 덕원갤러리에서 여는 인권사진전 『눈.밖에.나다』는 인권의 현장기록이다.

참여 작가는 곽상필 김문호 박영숙 성남훈 안세홍 염중호 이재갑 최민식 한금선 등 9명.

장애인, 이주노동자, 혼혈아, 성적소수자, 그리고 노인문제까지 다섯가지 주제에 카메라 앵글을 맞췄다.

이 가운데 장애인의 시선으로 그들의 세상을 담아낸 제주출신 곽상필씨(49)가 9인에 꼽혀 10여점의 작품을 출품해 화제다.

장애인 사진작가로서 장애인의 삶을 기록하는 그는 손끝에서 잡아낸 프레임의 강렬한 이미지를 통해 우리 사회 차별의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뇌경색이란 복병을 만나다'

그는 10년째 한쪽 손을 못 쓰는 불편한 몸으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20여년 전 신문사에 입사한 그는 카메라 한 대만 있으면 무서울 게 없었던 전직 사진기자.

▲ 곽상필 作..
하지만 소리없이 찾아온 '뇌경색'이란 병마는 그에게 오른손을 쓰지 못하게 하는, 몸 반쪽의 자유를 앗아가 버렸다.

수 년간을 자포자기한 그에게 기자시절 만났던 한 병원장의 권유는 그의 삶을 바꿔 놓았다.

김순택 세종의원 원장이 카메라를 만지고 싶다는 그에게 '왼손으로 해보라'고 했던 것.

하지만 쉽지 않았다.

한때 분신과도 같았던 카메라는 한 손으로는 들기조차 버거웠고 더구나 왼손 하나로 피사체를 잡는다는 것은 애초 무모한 일이었다.

그런 그에게 일생의 전환점이 찾아왔다.

1997년 김 원장과 여름 한센병 환자 돕기 제주지역 봉사단체인 '다미안회'와 함께 소록도를 따라 나선 것.

'나만큼 불행한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그에게 소록도의 풍경은 커다란 '충격' 이었다.

2박3일 동안 그 곳에서 살면서 왼손으로 쉴새없이 셔터를 눌러댄 그는 이후 충북 음성의 '꽃동네'도 찾았다.

이후 카메라를 다시 쥔 그는 몸은 성치 않았지만 늘 우리곁에 있는 '보통'사람들을 찾아다녔다.

그리고 '움직거림'이 없고 흐릿흐릿한 그의 작품들은 1999년 9월 '소록도 풍경'이라는 이름으로 세상 밖으로 나왔다.

 '행복한 장애인 만들기'

'절만을 넘어선 자화상' 中
"세상과 닫혀있는 이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다"

흑백 영상 속에서 어쩌면 자신의 모습을 봤을지 모를 그는 이후 '상필이가 만난사람들' 1집(2000년)에 이어 '상필이가 만난 사람들 2집(2002년 1월)과 3집'(2003년 3월)을 잇따라 냈다.

그리고 숱하게 꿈틀거리는 삶의 희망과 열정을 담아냈다.

'절만을 넘어선 자화상' 中
그는 늘 세상의 끝에 있는 장애인들과 만난다.

그의 흑백사진 속 인물들은 침묵 속에서 한결같이 평화에 차 있고 작은 소망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언어소통 조차 힘든 그이지만 그의 카메라를 통해 만난 사람들은 성실하고 열심히 배우려는 의욕적인 삶으로 바뀐다.

8년의 병고 끝에 장애인만 찍는 전업작가로 변모한 그에게 김원장은 "어느 덧 만나는 장애인들을 달라지게 만드는 재주를 갖게 됐다"고 말한다.

심지어 자기 생활에 만족하고 행복해하는 장애인도 숱하게 늘었다.

이는 어쩌면 사물을 따뜻하게 보려는 그의 따뜻한 애정때문인지 모른다.

똑 같은 사람에 대한 애정과 관심, 사회적 약자에게 자연스레 시선이가는 그의 눈빛...

항상 그의 앵글에는 훈훈한 기운이 서려있고 때론 훈훈한 온정이 흐른다.

이번 10여점의 작품 역시 '상필이가 만난 사람들'속에 있던 오늘을 극복하려는 장애인의 치열한 삶을 다룬 흔적들이다.

그리고 흑백의 앵글은 말한다.

"눈.밖.에 난 사람들의 치열하고 정열적인 삶을 보라'

 사진집『눈.밖에.나다』

'절만을 넘어선 자화상' 中

사진작가의 손끝에서 잡아낸 프레임의 강렬한 이미지를 빌려 우리 사회 소수자와 차별의 현실을 드러내고자 한 이번 시도는 인권사진집『눈.밖에.나다』(휴머니스트 출판)로도 발간됐다.

무려 1년 동안 준비한 이번 인권 사진 프로젝트에는 70대부터 30대까지 각기 다른 현장에서 활동하던 사진작가 아홉 명이 참여했다.

이들의 공통점은 주로 소수자 문제에 관심을 갖고 현장에서 사진을 찍는 작가들이란 점.

작가들은 다양한 차별의 현주소 가운데, 장애인, 혼혈인, 외국인 이주 노동자, 성적 소수자, 독거노인 등 소위 '눈 밖에 난' 사람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이를 드러내는 방식을 취했다.

점점 시각을 잃어가는 그러나 꿈 많은 16세 여고생 혜선이의 삶, 외국인 이주 노동자 호센의 하루, 독거노인의 일상, 이주노동자와 한국인 사이에 태어난 혼혈 어린이와 가족, 우리 사회의 혼혈인 1세대 등 작품 속의 주인공들은 우리와 다를 것 없는 동시대인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한편 이번 인권사진프로젝트 『눈.밖에.나다』는 국가인권위가 지난 8월에 출간한 인권만화집 「십시일反」, 11월에 개봉한 인권영화 「여섯 개의 시선」에 이은 인권문화 컨텐츠 제작사업의 일환으로 마련했다.

▲ 사진작가 곽상필.

1980년대 초부터 사진기자 생활을 하다 지난 92년 뇌경색으로 오른손이 마비된 그는 왼손으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어느덧 장애인만을 찍는 전업 작가의 길로 들어선 그는 나름대로 장애인들의 생활상을 주목한다.

 무게 10kg의 카메라를 통해 '음지에서 양지'로 끄집어내는 일을 하고 있다.

 아직도 '편견'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사회에 한 가운데 커다란 벽으로 자리잡고 있는 현실에서 그는 어쩌면 '장애인의 전령사'다.

한센병 환자촌을 소재로 한 '소록도 풍경'을 비롯해 '상필이가 만난 사람들'이라는 연재물은 그의 따스한 시선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소록도를 다녀온 후 희망과 용기를 얻고 재기를 다짐했다는 그는 여린 상처를 마음의 눈으로 딛고 두번째 삶을 살고 있다.

현재 김순택 세종의원장을 비롯해 몇몇 후원자가 남몰래 그를 돕고 있다.

'소록도에 다녀왔던 그 때의 소중한 경험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는 그는 오늘도 삶의 향기를 전하려는 듯  '인권의 사각지대'를 헤집고 다닌다.

그리고는 늘 아이들처럼 해 맑은 웃음으로 말한다.

"그저 미안해요"

후원 문의 (758)8431. 017-691-2121(곽상필)

▲ 곽상필 作.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