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기를 타고 바라본 위미항./제주도사진기자회
<오사카=김길호 객원기자> 제주도에 해군기지 건설안이 나왔을 때부터 필자는 재외도민의 한 사람으로서 반대한다는 글을 투고했다.

오늘로서 이 반대 표명은 다섯 차례인 줄 안다.

지난 9월20일자 제주대학 <제대신문>에 필자의 인터뷰 기사가 게재 됐다고 해서 그 내용을 읽을 수 있었다.

필자의 도일(渡日). 작가 편력에 대해서는 아무렇게 써도 좋다.

그리고 해군기지 건에 대해서는 새로운 군사기지다라고 쓴 것도 고무적이었다.

그런데 해군기지가 건설되면 마을 추억이 없어진다는 단락적인 내용에는 불쾌했다. 큰 차원에서 얘기한 일부분인데 마을 추억 운운 때문에 반대한다는 저차원이 아니다.

해군의 고급 장교 몇분이 제주에 와서 기자회견 한 것처럼 국책이다.

그들은 국책이라는 대의명분 속에 해군기지 건설을 피력하면서 주민투표, 제주도민의 목소리는 이해하지만 국책을 전면적으로 내세웠다.

그럼 국책은 누가 정하는가.

그들은 제복(군인)의 실무자들이다.

국민의 대변자인 국회의원 한 사람도 이 문제를 국책차원에서 당당하게 그들과 같이 발표한 사람이 한 사람도 없다.

과연 고급 장교 몇 사람만이 이 문제를 제주에서 발표할 문제일까.

그들은 몇년간 그 보직에서 근무하며 전역을 하던지 아니면 다른 부서로 이동하게 된다.

안보 차원과 해상안전을 위해 절대 필요하다지만 안보 차원이라면 가상의 적을 설정해야 하는데 북한인가 중국인가 일본인가?

이것을 제주도민만이 아니고 한국 국민에게 설명할 의무가 있다.

이러한 설명을 들어본 적이 없다.

일본이 안보 차원이라면 한반도 상황과 대만 해협을 논한다. 오키나와 미군기지 문제가 클로즈업 될때는 상기 두 문제와 중동문제까지 비약한다.

그러면서 논의에 논의를 거듭한다.

일본의 미군기지 75%가 오키나와에 있다. 그 장단점을 오키나와 도민의 숙명적인 현안이다. 미군기지로 인해 혜택을 입는 경제 논리보다 순수한 오키나와 자업(自業)으로 오키나와를 발전시키고 싶다는 보편적인 꿈을 갖고 있다.

물론 경제적 손실을 감수한다는 각오가 있다. 이러한 내부적인 상황을 잘 알기 때문에 오키나와 미군기지 문제는 일본 정부의 두통거리다.

그래서 일본 본토에 기지 일부를 이전한다고 하지만 이전 대상지역은 결사반대하고 있다.

제주도에 기존의 군사기지가 있어서 확대한다면 이해할수 있지만 자연항으로 이제까지 지켜온 어촌에다 해군기지를 설치한다고 한다.

안보차원과 제주 발전에 크게 공헌한다지만 한국의 관광 일번지가 군사기지로 관광발전을 꾀한다면 그건 관광이 아니다.

또 위미리와 화순리 일부 주민들은 마을 발전을 위해서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가슴 아픈 이야기다.

오밀조밀한 마을 길이 바둑판처럼 갈라지면서 제주도판 고속도로가 생겨야 해군기지가 그 위력을 발휘한다.

즉 마을 번영이 아니고 해군기지 유치는 마을 파괴를 의미한다.

다시 오키나와 얘기로 되돌아오지만 제주도는 오키나와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또 지난 달에는 제주도와 오키나와 민간인들이 한일친선협회를 발족시켰다.

지금 제주도는 해군기지 건으로 도민 여론이 양극화 되고 있는데, 군사기지로 오키나와 도민들은 실지로 체험하고 있다.

왜 제주도는 그들에게 군사기지에 대한 현안 사항에 대해 자문을 얻지 않는가.

국책이니까 외국인에게 자문 얻을 사항이 아니라서 그럴까. 이해할 수 없다. 무엇을 위한 자매결연이고 친선협회이고 교류인지 모르겠다.

필자는 오키나와 담당자들의 의견 수렴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해상안전 얘기도 해군기지 건설요지 중의 하나이다. 사실 동남 아시아 지역에서 해적들의 출몰로 인해 일본 선박들도 피해를 입고 있다.

그러나 그 지역까지 자국의 선박 안전운행을 위해서 갈수 없다.

그러한 해적들의 사건 방지를 위해 주변국에 항의 아니면 현대식 장비를 지원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위미 2리의 '해군기지 반대'운동을 전적으로 지원한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