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대 제주도교육감선거가 7일 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 대해 애써 지역의 명망 있는 교육자들이 벌이는 선의의 경쟁이란 말을 붙이고 싶지 않다.

가장 귀를 피곤하게한 게 인사설이다. ‘누가 되면 누가 장학사가 되고, 누가 과장으로 승진하고’ 하는 식의 소문이 끊임없이 나돌고 있다. 웃기는 얘기다. 마치 저급한 정치판을 보는 것 같다.
뿐만 아니다. 혈연·지연·학연이 뛰고 있다. 동문인 학교운영위원은 동문인 입후보자를 밀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왕따를 당한다.

미칠 노릇이다. 적어도 교육감 선거는 남다른 도덕성과 청렴성이 요구되는 데도 지금의 교육감 선거는 과열 혼탁의 징후가 뚜렷하다.

교육감은 제주교육의 정점이다. 유치원에서 초·중·고 교원의 인사권과 교육장 임명권을 갖는 것은 물론 연간 3956억원(2004년 기준)의 예산을 주무르는 막강한 자리다. 그러나 선거권을 쥔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수는 1922명에 불과하다.

때문에 지금 교육현장에선 교육감 선거 전후는 물론, 평소에도 학운위원들을 ‘우리 편'으로 만들려는 선거운동이 만연해 불법과 혼탁이 판을 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당장 선거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학운위가 주민을 대신해 교육감을 선출할 어떤 대표성도 없다"는 식의 이의를 제기 하지는 않겠다. 또 “‘교육자치는 주민자캄라는 기본이념에도 어긋난다”는 말도 않겠다. 중요한 것은 제도가 문제가 아니라 자질이기 때문이다.

지금 학교운영위원회를 보면, 자치단체장과 광역·기초의회 의원, 도교육청 간부직원, 심지어는 교육위원까지 참여함으로써 선거중립 훼손의 우려가 크다. 도교육청 전문직·일반직 공무원의 경우 모두 38명. 도의원은 10명이나 된다.

굳이 학운위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제주교육발전에 얼마든지 기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데도 기어코 감투를 써야 한다.

학교자치의 꽃인 학교운영위원회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온통 선거 얘기다. 학운위 기능과 역할에서 본말(本末)이 뒤바뀌고 있다.
일부 교사들이 선거 캠프에 드나드는 것도 볼썽사납다. 과열 혼탁 선거를 거든다면 어떻게 학생들에게 정의로운 사회를 일구는 일꾼이 되라고 가르칠 것인가.

다행스런 것은 교육감 선거가 겨울방학중에 치러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 우리 주변에는 음지에서 어린 제자들을 보살피며 묵묵히 ‘사도(師道)'를 걷는 스승도 많다.
나의 학창시절에도 있다. “교육 여건이 열악하지만 의지와 열정·노력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진다”는 소신을 갖고 있는 분들이다.

적어도 교육감 선거는 당선이 능사는 아니다. 남은 선거운동 기간동안, 부디 교육현장 가까이 다가가 작은 소리도 크게 듣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