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가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연 가운데, 관계자가 조 모종을 심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그림을 그리고, 시를 쓰고, 노래하는 사람들이 무등이왓 터에서 조농사를 짓는 것은 70여년 전 그날을 잊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는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열었다.·

약 130여 가구가 들어선 무등이왓은 동광리 5개 부락 중 규모가 가장 컸던 마을이었다. 제주의 대표 수공예품 주산지이기도 했다.

그러나 1948년 11월 토벌대가 무등이왓 마을에 진입, 주민 10여명을 총살하고, 마을을 불태웠다. 이후 재건되지 못한 집터자리에는 대나무 숲만 무성히 꾸려졌고, 올레길.돌담 등만 남아있다.

이 단체들은 지난해 7월 이곳에서 동광리 주민과 함께 조를 심어 키우고, 같은해 10월 곡식을 수확해 술을 빚었다.

12월엔 4.3 당시 동광리 주민들이 몸을 숨겼던 '큰넓궤'에 술을 50일간 저장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술은 올해 3월 4.3추념식 위령주로 사용되도록 제주4.3평화재단에 전달됐다.

이는 동광리 주민 이만봉씨가 무등이왓 내 4.3 당시 집터를 내어준 덕이다.

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는 올해도 이곳에서 조농사를 짓고, 술을 빚어 다음해 4.3때 3만명의 희생자의 넋을 기릴 예정이다.

이날 땅살림코사와 파종을 시작으로 초불·두불 검질매기, 조와 당신을 위한 작은 음악회, 추수, 고소리술 만들기, 큰넓궤 술들이기 등이 오는 12월까지 동광리 무등이왓 일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김동현 민예총 이사장은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은 아픈 역사의 사실을 과거의 일로 놓아두지 않고, 서로를 위로하고 함께 희망을 만들어가기 위한 예술행동이자 공동체 프로그램"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가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연 가운데, 민요패소리왓이 행사의 시작을 고하는 땅울림을 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가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연 가운데, 민요패소리왓이 행사의 시작을 고하는 땅울림을 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가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연 가운데, 행사의 시작을 고하는 땅울림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가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연 가운데, 소리꾼 문석범씨의 영혼을 부르는 '영귀소리'가 이어졌다. (사진=박지희 기자)
영귀소리에 이은 땅살림 코사. 고봉밥이 담긴 함지박에 청새가 꽂혀 있다. 강덕환 제주작가회의 회장이 김수열 시인의 축문을 낭독하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동광리 주민들이 16일 조농사를 짓기에 앞서 땅살림 코사를 지내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동광리 주민들이 16일 조농사를 짓기에 앞서 땅살림 코사를 지내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동광리 주민들이 16일 조농사를 짓기에 앞서 땅살림 코사를 지내고 있다. 156명의 희생자 수에 맞춰 156개의 술잔이 놓여져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16일 행사 참가자 전원이 일제히 삽과 장갑, 모종을 들고 무등이왓 밭으로 들어가 조 모종을 심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16일 행사 참가자 전원이 일제히 삽과 장갑, 모종을 들고 무등이왓 밭으로 들어가 조 모종을 심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16일 행사 참가자 전원이 일제히 삽과 장갑, 모종을 들고 무등이왓 밭으로 들어가 조 모종을 심고 있다. 노동요를 부르며 힘듦을 떨쳐내기도 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가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연 가운데, 행사 관계자가 156명의 동광리 주민 희생자 이름이 쓰여진 소지를 태우기 위해 새끼줄을 거두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가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연 가운데, 마지막 순서로 156명의 동광리 주민 희생자 이름이 쓰여진 소지가 불에 타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제주민예총과 탐라미술인협회가 지난 16일 서귀포시 동광리 무등이왓에서 '2022 예술로 제주탐닉 : 잃어버린 마을에서 보내는 선물'을 연 가운데, 마지막 순서로 156명의 동광리 주민 희생자 이름이 쓰여진 소지가 불에 타고 있다. (사진=박지희 기자)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